[일간환경연합 한선미 기자]환경부(장관 김은경)가 최근 국민 천여 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대다수가 미세먼지 오염도가 심각(91%)하고, 건강에 위협이 된다(78.7%)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오염도가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건강 위협으로 인식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오염도 '심각' 응답자의 83.2%가 건강에 위협이 된다고 응답한 반면, 오염도 '보통' 응답자는 28.0%만이 건강에 위협이 된다고 응답했다.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으로는 중국 등 국외유입(51.7%)으로 인식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국내 발생 30.3%, 국내외·기후변화 등 복합적인 원인 18.1% 순으로 답했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케이티엠엠과 함께 8월 31일부터 9월 2일까지 19세 이상 전국 성인 1,091명을 대상으로 모바일웹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3.0%p(신뢰수준 95%)이다.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57.5%)이 알고 있으나 44.6%가 불만족을 표시했다. 정책 인지도가 낮을수록 불만족 응답이 높아 미세먼지 대책의 보완과 함께 국민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할 필요성도 나타났다.
공청회에서 환경부는 올해 8월에 제정된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하위법령 제정안 등 시행 방향과 지난해 9월에 발표된 정부부처 합동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의 보완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전문가 토론과 의견 수렴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이 자리에서 올해 7월부터 두달간 환경부와 환경재단, 한국대기환경학회가 공동 개최했던 '미세먼지 해결 돕는 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의 시상식도 열린다.
공모전에는 200여 가지의 아이디어가 제출되었으며, 이 중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된 김현진 씨의 '농촌지역 불법 소각쓰레기 문제해결' 등 6개 아이디어가 환경부 장관상 등을 받는다.
황석태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미세먼지에 대해 국민들은 매우 심각한 건강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에 동참하려는 시민의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공청회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미세먼지 대책을 보완하여 올 겨울에 다가올 고농도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 준비를 더욱 철저히 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