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바구미는 팥의 성숙기인 9월 하순부터 10월 상·중순에 꼬투리 안에 있는 열매 표면에 알을 낳는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열매 속으로 파고들어가 해를 끼친다.
이 때 플라스틱 통이나 두 겹으로 된 두꺼운 비닐봉지에 팥 500g당 탈산소제와 제습제를 각각 1개(5g)씩 넣어 밀폐보관하면 팥바구미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 |
실험 결과 팥바구미 출현율은 3.7%로 무처리(17.7%) 대비 약 79.1%가 줄어들고 성충이 출현하더라도 번식하지 못해 재감염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농가에서는 수확물 건조 과정이 끝난 직후에 일반 소비자는 시중에서 팥을 구매한 후에 이 방법으로 팥을 보관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탈산소제와 제습제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백인열 농진청 생산기술개발과장은 “현재 팥바구미를 방제하기 위한 약제는 등록돼 있지 않으며 약제를 뿌리더라도 팥바구미의 산란 특성으로 방제 효과가 매우 낮다”며 “이번에 소개된 방법을 활용하면 팥바구미로 인한 농가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