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장영기 기자]환경부(장관 윤성규)가 국정과제인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효과적 이행’에 기여하기 위해 2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6차 국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환경포럼'을 개최한다.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 이산화탄소(CO2) 대량 발생원으로부터 포집한 후 압축·수송 과정을 거쳐 육상 또는 해양지중에 안전하게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CO2 핵심감축 수단으로 세계 각국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해외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기술 현황과 전망, 땅속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잠재적 환경 영향, 수송과정에서의 환경영향평가, 대규모 누출 시 식생에 미치는 영향 및 누출 검증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 기술 등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 8인의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국내 관련 전문가 200여명이 참가한다.
미국의 커티스 올덴버그 박사는 ‘위해성 평가를 위한 이산화탄소 누출과정 모델링의 결과 평가’에 대한 연구를 소개할 예정이다.
올덴버그 박사는 온실가스 감축 분야의 최고 전문 매체인 ‘인터내셔날 저널 오브 그린하우스 가스 콘트롤(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7월 녹색성장위원회 주도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여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등 4개 부처 공동으로 관련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CCS 기술의 전과정, 즉 이산화탄소의 포집·수송·저장·사후관리 단계의 환경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14년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환경관리연구단’을 발족시켜 세계 수준의 누출 모니터링 기술 및 환경위해성 평가·관리기술을 개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