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한선미 기자]특허청에 따르면, 피부 자극 완화 및 기능 개선뿐만 아니라 인체 유해물질 차단 화장품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들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화장품은 미세먼지나 황사 속에 포함된 중금속을 흡착시키거나 피부로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한 황사와 미세먼지가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음에 비추어볼 때, 그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에 부응하듯, 유해물질 차단 화장품 관련 특허출원은 2015년 9건에 불과하였으나, 2016년 27건으로 무려 200%나 증가하였고, 2017년 5월 현재 12건이 출원되어 작년의 증가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업 발달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 증가와 지속적으로 발생해 온 황사를 고려해볼 때, 향후에도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10년간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유해물질 차단 화장품 관련 특허출원은 중견 · 중소기업이 전체의 70%(50건)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대기업 17%(12건), 대학 · 연구기관 7%(5건), 개인 6%(4건) 순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2016년 이전까지 대기업의 출원건수는 3건에 불과하였으나, 2016년 3건에서 2017년 5월 현재 6건으로 100% 증가하였는데, 이는 유해물질 차단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대기업들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