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장영기 기자]정부가 우리나라의 전자정부를 개발도상국에 전파하는 전자정부 컨설팅 전문인력을 대거 양성한다.
행정자치부는 ‘글로벌컨설턴트 컨설팅 심화과정’을 신규 개설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과정은 전자정부 수출 정보기술 기업인, 해외 자문관 파견 예정인 전문가, 전자정부 구축·운영경력이 있는 공공기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교육을 신청하면 30여명을 선발해 오는 5월 15일부터 19일까지 1주일간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행자부는 2014년부터 3년간 전자정부 글로벌컨설턴트 과정을 운영해 총 339명의 전자정부 컨설팅 전문가를 양성한 바 있다.
이 중 79명은 개발도상국가의 전자정부 정부자문관으로 우즈베키스탄, 콜롬비아, 르완다 등 28개국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67명은 몽골, 베트남 등전자정부 컨설팅 및 구축사업에 참여했다.
이번 컨설팅 심화과정에서는 국가정보화수준진단을 위한 컨설팅 전문역량이 필요하다는 기존 참석자들의 요청에 따라 전자정부 수준진단도구(NIAT)를 활용한 컨설팅을 집중적으로 교육한다.
특히 서울대 ITPP(International IT Policy Program), KAIST ITTP(Global IT Technology Program) 과정에서 교육받고 있는 공무원과 협업해 우간다, 미얀마, 인도네시아, 케냐 등 6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직접 정보화수준진단 컨설팅을 진행하게 된다.
정윤기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한국의 전자정부의 경험과 노하우를 개도국 등 국제사회에 전수해 줄 수 있는 전문가들이 많이 지원하길 바란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