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장영기 기자]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10월 18일 16시 30분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제30차 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대장 김성중) 및 제4차 장보고과학기지 월동연구대(대장 임정한)의 합동 발대식을 개최했다.
각 17명의 대원으로 구성된 장보고 기지와 세종기지는 각각 10월 22일과 11월 28일에 기지로 출발한다. 이들은 최대 영하 40도까지 기온이 떨어지는 남극에서 연구 활동과 기지 운영을 위해 약 1년간 기지에서 활동 하게 된다.
대원들은 지난 10월 초부터 해빙안전과 해상생존 훈련, 위치확인 시스템(GPS) 및 무선통신 사용법, 응급 처치, 조난대처법 등 생존에 필요한 이론·실습 훈련을 받았으며, 대원 간 의사소통과 결속력을 강화하는 훈련도 이수한 바 있다.
이번 파견으로 우리나라는 1988년 2월 제1차 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 파견 이후 지난 30년간 누적 월동연구대원을 539명을 배출하였다.
우리나라는 남극에 2개 이상의 상주기지를 둔 세계 10번째 국가로, 서남극 최북단의 킹조지섬에 위치한 세종과학기지는 1988년부터 기후변화, 해양 및 극지 유용 생물자원 등 해양 연구를 수행해왔다. 또한, 남극 대륙 테라노바만에 위치한 장보고과학기지는 지난 2014년 준공 이후 천문, 우주, 빙하학 등 대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두 과학기지에는 1년여 간 상주하다 교대하는 ‘월동연구대’와 남극의 여름인 11월~2월에 수시로 파견하는 ‘하계연구대’가 매년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