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한선미 기자]퇴직공무원들이 가진 경험과 재능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지역문제 해결에 직접 참여하는 기회가 확대된다.
행정자치부는 복지허브화 사업의 일환으로 퇴직공무원들이 ‘재능나눔’ 방식으로 각 읍·면·동 복지공무원들과 함께 ‘찾아가는 복지상담’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 |
이후 지자체별 수요, 퇴직공무원 경력 등을 고려한 읍·면·동·퇴직공무원 간 매칭을 통해 대상 지역 및 대상자가 최종 확정된다.
읍·면·동에 배치된 퇴직공무원은 복지허브화와 연계해 맞춤형 복지팀과 협업해 복지서비스 제공에 참여한다.
이들은 신규 복지 대상자와 기초생활수급자, 저소득층 등 찾아가는 복지상담과 복지수급자 사례관리 지원 등의 역할을 맡는다.
퇴직공무원들의 근무형태 및 시간은 읍면동별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올해 하반기 중 복지허브화 추진 읍·면·동을 대상으로 퇴직공무원 100명을 시범 배치·운영하고 운영 성과를 고려해 내년부터 전국적으로 확산한다.
하반기에 참여를 원하는 퇴직공무원은 13~22일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http://www.geps.or.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아울러 행자부는 읍·면·동 재능나눔 퇴직공무원에 대한 참신하고 친숙한 대외명칭을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국민 누구나 응모 가능한 이번 공모는 13~22일까지 행자부(www.moi.go.kr) 및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참여하면 된다.
김성렬 행자부 차관은 “이번 사업으로 퇴직공무원의 소중한 행정경험이 복지서비스에 접목돼 주민 만족도가 높아지고 복지 현장 여성공무원의 안전한 근무여건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퇴직공무원이나 민간 자원이 복지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지역사회 협업 모델을 더 많이 발굴하고 확대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