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신상미 기자]농촌지역 주민들은 가정생활 만족도 점수가 65.1점으로 보통 수준이면서 친척 간 교류가 많고 우울감이 적은 가정일수록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농촌가정의 복지향상을 위해 전국 농촌지역 거주자 2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농촌가족 생활실태'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조사결과를 보면 '가정생활만족도'는 '재정상태 및 가정생활전반 자녀관계 및 가족과의 의사소통 '부부관계 가사수행 여가, 자신의 역할 및 위치 지역사회참여' 등의 요인을 점수로 환산했을 때 보통 수준인 65.1점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현재 가장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는 '가족원 건강문제(58.9%)'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문제(21.4%) 자녀문제(12.0%) 노부모와의 문제(4.2%) 부부문제(3.1%) 기타(0.5%)' 순이었다.
'집안 행사시 정기적으로 만나고 도움을 주는 친척 범위'에 대해서는 '4촌 이내(31.5%)'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촌 이내(28.6%) 형제(27.1%) 8촌 이내(9.9%) 그 이상(3.0%)' 순이었다. 특히 '4촌~8촌 이내' 응답 비율을 합하면 70.0%로 농촌지역 주민들의 친척 간 교류 범위가 넓음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 주민들의'우울감'에 대한 조사에서는 14점 만점에 평균 3.2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혀 우울하지 않은 수준인 0점'이 25.0%, '정상수준인 1점~9점'이 68.1%, '우울한 수준인 10점 이상'이 6.9%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대상자의'가구구성'은 '1세대 가구 57.8%', '2세대 가구 37.3%', '3세대 가구 4.9%'였으며, 가구구성원 중 '만 65세 이상 노인이 있는 가구'가 60.8%였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최윤지 농업연구관은 이번 조사결과는 농촌주민들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라며, 앞으로 농촌주민들의 가정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