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장민주 기자]질병관리본부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빅데이터 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 시범운영을 16일부터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은 모든 이동통신사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동통신사별 시스템 구축 후 단계적으로 운영한 후 2017년 4월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미래부, 보건복지부, 이동통신사가 참여하는 정부3.0 협업 사업으로 해외 로밍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사람을 확인 후 감염병 잠복기간 동안 모니터링하는 검역정보화 사업이다.
로밍데이터 활용 스마트검역 체계도 |
질병관리본부는 이동통신사를 통해 확보된 감염병 오염국가 방문자를 대상으로 입국 후 감염병 잠복기간까지 증상발현 시 1339번으로 자진신고토록 안내 문자를 발송한다. 전국 의료기관과 오염국가 방문자 정보 공유를 통해 진료 시 의사가 환자의 여행력을 확인 수 있도록 해 해외감염병 대응 감시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메르스 환자 유입에 따른 방역체계 개편을 통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법률’ 개정으로 제76조의2(정보제공요청 등) 조항이 신설됨에 따라 추진됐다.
정부는 향후 정보통신기술(ICT)를 기반으로 한 해외감염병 예방과 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