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정부청사 코로나19 상황별 대응방안’에 따른 것으로, 24일부터 전국 11개 정부청사에 44대의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운용해 출입단계에서 감염의심자를 격리할 수 있도록 출입관리를 강화했다.
대구지방합동청사는 19일부터, 정부 서울청사는 21일부터 운용 중이며, 세종청사는 24일 현재 17개동에 총 19대의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 가동 중이다.
청사관리본부는 열화상 카메라와 2차 비접촉 체온계를 이용해 체온을 측정하고 기준온도(37.5℃)가 넘는 사람은 발열자 대기장소로 안내한 후 질병본부 콜센터(1339) 또는 세종시 보건소로 이송조치 또는 방문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23일부터 청사본부 내 ‘코로나19 대응반’ 3개팀을 구성했고, 청사와 입주부처가 감염병 확산 상황 단계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비상연락망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당초 주 1회 실시했던 방역소독도 주 2회로 확대해 청사 사무실 및 복도 등 공용공간에 집중 방역을 실시하며, 감염의심자 및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주변 및 이동 동선에 대한 집중 방역을 실시하고 역학조사관 판단에 따라 출입 통제·폐쇄를 할 계획이다.
한편 청사 내 감염병 예방을 위해 21개소 청사어린이집을 휴원하고 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도 당분간 휴무에 들어갔다.
이밖에도 코로나19 초기단계부터 청사 내 주요지점에 1000여개의 손 세정제를 비치하고, 청사 내 예방안전 수칙 부착과 홍보용 배너 설치, 1일 4회 안내방송 등 청사 직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 캠페인을 전개해 오고 있다.
한창섭 정부청사관리본부장은 “정부청사는 국가중요시설로서 코로나19의 청사 내 유입에 대비해 모든 상황을 가정해 대비하고 있다”면서 “입주직원은 물론 방문객에 대한 예방안전 수칙 준수 안내와 방역체계 강화 등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해 빈틈없이 조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