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신상미 기자]올해 28개 중앙부처와 17개 지자체가 8393억원을 투입해 공공시설물 2542곳에 대해 내진보강사업을 추진한다.
국민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을 21일 발표했다.
올해 내진보강사업에 들어가는 예산은 최근 5년 평균(1257억원)보다 6.7배 증가했다.
안전처는 올해 계획된 사업을 완료하면 국가 내진율이 45.66%로 지난해 연말 목표치 43.25%보다 2.4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투자 금액별로는 학교시설(2851억원)과 도로시설(1732억원), 건축물(1345억원) 등에 많은 예산이 투입된다.
기관별로는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지난해보다 6.6배 늘어난 6180억원을 투자하고 지방자치단체는 2.35배 늘어난 2213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안전처는 항만시설은 4.88%, 철도시설은 4.63%, 전력시설은 4.12% 내진율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안전처는 지난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 추진 결과에 대해서는 중앙행정기관과 시·도가 전수점검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원자력시설 등 35곳은 민간전문가와 함께 현장점검해 다음달 말 공시한다.
안영규 안전처 재난예방정책관은 지난해 9.12 지진의 영향으로 각 기관이 내진보강 투자예산을 적극적으로 확대한 결과 올해 예산이 대폭 증가했다 며 향후에도 정부 기관들이 내진보강사업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도록 독려하겠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