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환경연합 장영기 기자]정월대보름은 새해 들어 처음 맞는 보름날로서 농사의 시작일이라 하여 매우 큰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다.
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지어 먹으며, 아침 일찍 부럼이라고 하는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데, 이렇게 하면 1년 내내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또 귀밝이술을 마시고, 밤에는 뒷동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며 소원 성취를 빌고 1년 농사의 풍년을 점치기도 하였다.
즉 달빛이 희면 많은 비가 내리고 붉으면 가뭄이 들며, 달빛이 진하면 풍년이 오고 흐리면 흉년이 든다고 하였다 고 전해 진다.
대보름의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로는 안동의 차전놀이, 통영 오광대놀이, 황도 붕기풍어놀이, 함경도 북청사자놀이가 있으며 지역에 따라 볏가릿대세우기·용알뜨기·놋다리밟기 등이 있고, 놀이로는 지신밟기·용궁맞이·하회별신굿·쥐불놀이 줄다리기· 등 그 밖에 더위팔기도 있다.
정월대보름달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