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회]전국 건축물 총 6,986,913동 / 35억3천4백만㎡
  • 장영기 기자
  • 등록 2016-02-03 10:38:34

기사수정
  • 전년대비 수도권은 2.1%, 지방은 2.6% 증가
[일간환경연합 장영기 기자]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5년말 전국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75,625동(1.1%) 증가한 6,986,913동, 연면적은 82,717천㎡*(2.4%) 증가한 3,534,068천㎡라고 밝혔다.
*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346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3,978천㎡(2.1%) 증가한 1,640,878천㎡이고, 지방은 48,739천㎡(2.6%) 증가한 1,893,190천㎡이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이 2.8% 증가한 1,654,169천㎡(46.8%)로 가장 크고, 상업용은 1.8% 증가한 722,828천㎡(20.5%), 공업용은 4.5% 증가한 365,561천㎡(10.3%), 문교·사회용은 1.5% 증가한 309,049천㎡(8.7%)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주거용이 2.6% 증가한 772,173천㎡(47.1%), 상업용은 2.3% 증가한 357,088천㎡(21.8%), 공업용은 6.0% 증가한 128,935천㎡(7.9%), 문교·사회용은 0.2% 증가한 137,081천㎡(8.4%)이며, 지방은 주거용이 3.1% 증가한 881,996천㎡(46.6%), 상업용은 1.3% 증가한 365,739천㎡(19.3%), 공업용은 3.7% 증가한 236,625천㎡(12.5%), 문교·사회용은 2.6% 증가한 171,968천㎡(9.1%)이다.



세부 용도별 건축물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008,859천㎡(61.0%)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2,134천㎡(20.1%), 다가구주택 152,856천㎡(9.2%), 다세대주택 110,423천㎡(6.7%), 연립주택 38,779천㎡(2.3%)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505,181천㎡(65.4%)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87,633천㎡(11.3%), 다세대주택 81,349천㎡(10.5%), 다가구주택 71,893천㎡(9.3%), 연립주택 22,203천㎡(2.9%) 순이며, 지방은 아파트가 503,677천㎡(57.1%)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4,500천㎡(27.7%), 다가구주택 80,963천㎡(9.2%), 다세대주택 29,074천㎡(3.3%), 연립주택 16,576천㎡(1.9%)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9.4%), 제주(41.2%), 강원(36.3%), 다가구주택은 대전(15.7%), 대구(14.6%), 울산(11.9%) 순이며, 아파트는 세종(74.3%), 광주(72.4%), 경기(69.0%), 연립주택은 제주(8.7%), 서울(3.8%), 강원(2.7%), 다세대주택은 인천(13.3%), 서울(13.2%), 제주(9.6%) 순이다.

[2]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31,464천㎡(32.0%)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07,995천㎡(28.8%), 업무시설 109,922천㎡(15.2%), 판매시설 52,160천㎡(7.2%)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05,575천㎡(29.6%)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93,753천㎡(26.3%), 업무시설 76,803천㎡(21.5%), 판매시설 30,047천㎡(8.4%) 순이며, 지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25,889천㎡(34.4%)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14,241천㎡(31.2%), 업무시설 33,118천㎡(9.1%), 판매시설 22,112천㎡(6.0%)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전북(36.1%), 충북(35.6%), 경남(34.5%) 순이고,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40.4%), 세종(37.2%), 전북(37.0%) 순이며, 판매시설은 서울(9.3%), 대전(8.8%), 부산(8.6%), 업무시설은 서울(31.1%), 부산(17.7%), 세종(16.0%) 순이다.

건축물 노후도 및 멸실현황

준공 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 2,511,900동으로 확인되어 전체(6,986,913동)의 36.0%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5.1%, 지방은 40.1%로 확인되어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하였다.

용도별 노후 건축물 동수 비율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이 29.8%로 가장 높고, 상업용(22.3%), 문교·사회용(14.4%), 공업용(7.9%) 순이며, 지방은 주거용이 50.3%로 가장 높고, 상업용(23.7%), 문교·사회용(17.8%), 공업용(13.0%) 순이다.

2015년 멸실된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18.0% 증가한 53,601동, 연면적은 14.7% 증가한 12,228천㎡이다.

규모별, 소유주체별 현황

우리나라의 최고층 건축물은 부산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80층)”이며, 50층 이상 초고층 건축물은 전년대비 5개동*이 증가한 94개동이다.

현재 건설 중인 초고층 건축물은 서울제2롯데월드(123층), 부산롯데타운(107층), 부산해운대관광리조트(101층) 등이다.

* ’15년 준공 초고층 건축물(5개동)
인천 송도아트원푸르지오(60층, 2동), 경남 메트로시티 2단지(55층), 부산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53층, 2동)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356천동(62.4%), 2~4층 건축물 2,279천동(32.6%), 5층 건축물 154천동(2.2%) 순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백㎡미만 건축물 3,253천동(46.6%), 1백~2백㎡미만 건축물 1,568천동(22.5%), 3백~5백㎡미만 건축물 715천동(10.2%)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557천동(79.5%), 법인 소유 건축물 405천동(5.8%), 국·공유 소유 건축물 176천동(2.5%) 순이다.

인구 및 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대비 1.34㎡ 증가(67.24㎡→68.58㎡)하였으며, 수도권은 1.07㎡ 증가(63.35㎡→64.42㎡)하고, 지방은 1.61㎡ 증가(71.04㎡→72.65㎡)하였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세종(39.79㎡), 경북(39.46㎡), 충북(34.95㎡) 순이고, 상업용은 제주(25.01㎡), 강원(17.72㎡), 서울(16.17㎡) 순이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0.1% 증가한 3.5% (3,451천㎡→3,534천㎡)이며, 지역별로 수도권은 0.3% 증가한 13.9%, 지방은 전년 수준인 2.1%다.

시도별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0.8% 증가한 103.2%(619천㎡→624천㎡)로 가장 컸으며, 다음은 부산(28.2%), 대전(19.3%) 순이다.

※ 동 통계자료에서 분류하는 통계용 건축물의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주거용 :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상업용 : 근린생활, 자동차관련, 판매, 운수, 숙박, 업무시설 등
공업용 : 공장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학교, 문화시설(극장 등)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업무시설 : 공공업무시설,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의 작성기준은 2015.12.31일 백업자료입니다.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립수목원, 5월의 정원식물로 ‘하늘말나리’ 선정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5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여름 정원에 포인트가 되는 자생식물 ‘하늘말나리’를 선정하고,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식재 방법과 관리 요령을 함께 소개했다.국립수목원은 ‘우리의 정원식물’ 시리즈 5월의 식물로 ‘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하늘말나리는 ...
  2. 디스커버리, 고윤정과 함께한 ‘프레시벤트’ 여름 화보 공개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이 앰버서더 고윤정과 함께한 ‘프레시벤트’ 여름 화보를 공개하며, 자체 개발한 냉감 소재를 적용한 기능성 반팔티를 중심으로 한 세련된 아웃도어 스타일을 제안했다.프리미엄 아웃도어 브랜드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은 2025년 여름 시즌을 맞아 기능성과 스타일을 겸비한 ‘프레시벤트’ 컬렉션 화보...
  3. 서울시여성가족재단–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양성평등 교육 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박정숙)과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원장 김삼화)이 양성평등 및 폭력예방 의식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5월 8일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전문성과 자원을 기반으로 ▲양성평등 교육 전문강사 양성사업의 교육 협력 ▲폭력예방 콘텐츠의 공동 활용을 통해 서울시민 누구나 양질의 교육 혜택을 누릴...
  4. 삼성전자, 13일 `Galaxy S25 Edge` 글로벌 공개… 유튜브 등 통해 생중계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차세대 전략 모델 ‘갤럭시 S25 엣지(Galaxy S25 Edge)’를 공개한다. ‘슬림, 그 이상의 슬림(Beyond slim)’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이번 신제품은 단순한 디자인 혁신을 넘어, 모바일 AI 기술과 초고화질 카메라를 중심으로 사용 경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갤럭시 S25 엣지는 초...
  5. 만화계를 뒤집을 ‘고등 웹툰 최강자전’… 10대 작가의 꿈, 네이버웹툰에서 현실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네이버웹툰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고등학생 대상 웹툰 공모전 ‘2025 네이버웹툰 고등 최강자전’이 열린다. 청소년 웹툰 창작자들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차세대 작가 발굴에 박차를 가한다는 취지다.이번 공모전은 2012년부터 운영돼 온 ‘네이버웹툰 최강자전&rsqu...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