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회]상주에서 천년 전 서식 미기록 돌말류 6종 화석 발견
  • 장민주 기자
  • 등록 2017-05-18 10:49:27

기사수정
  • 국내 현생종...보고되지 않은 6종의 돌말류 화석 발견
  • 국내 처음으로 고(古)환경 서식 돌말류 표본 500점 확보
[일간환경연합 장민주 기자]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경북 상주 공검지 퇴적층을 2016년 9월부터 시추하여 7개월 간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현생종으로 보고되지 않은 6종의 미기록 돌말류 화석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6종의 미기록 돌말류는 칼로네이스 와디(Caloneis wardii), 곰포네마 아시아티쿰(Gomphonema asiaticum), 곰포네마 네오아피쿨라툼(Gomphonema neoapiculatum), 피눌라리아 푸사나(Pinnularia fusana), 셀라포라 카피타타(Sellaphora capitata), 스타우로시라 디모파(Staurosira dimorpha)이다.

이들 6종의 돌말류는 영국, 중국 등의 국가에서 살고 있는 종으로 알려졌으나 국내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미기록 종이다. 주로 물 속의 암반, 자갈, 모래, 생물체 표면 등에 붙어서 생활하는 부착조류로, 현재 담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비큘라속(Navicula)과 같이 깃털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의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돌말류는 규조류(硅藻類)라 불리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돌과 같은 유리(琉璃) 세포벽을 갖고 있다.

이들 돌말류가 발견된 상주 공검지는 환경부에서 2011년 6월 29일 우리나라 논습지 중 처음으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한 곳이며, 약 1,400년 전 후삼국시대에 벼농사를 위해 인공적으로 조성된 습지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전경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공검지의 생성 역사를 밝히고, 퇴적층에 분포하는 돌말류 등의 고대 원생생물 파악과 과거 환경의 유추를 위해 해당 습지 4지점의 퇴적층을 시추하여 돌말류 분포와 지질 연대를 분석했다.

습지 퇴적층은 과거 환경 변화 파악이나 미래 환경 변화 예측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연구 재료이며, 특히 돌말류 화석은 고(古)환경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생물이다.

연구진이 공검지 퇴적층을 분석한 결과, 500~4,000년 전에 퇴적된 지층에서 돌말류가 집중적으로 출현했고, 총 103종의 돌말류가 서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 연대분석 결과 공검지의 조사 1지점은 최대 2만 3,020년 전부터, 2지점은 최대 6,390년 전부터, 3지점은 최대 2,550년 전부터, 4지점은 최대 8,260년 전부터 각각 퇴적층이 형성

특히, 약 1,000년 전에 형성된 공검지 조사 1지점 퇴적층에서 국내 현생종으로 보고되지 않은 6종의 미기록 돌말류가 발견된 것이다.

연구진은 6종의 미기록 돌말류의 생태 특성을 볼 때 조사 지역의 과거 환경이 현재의 공검지보다 매우 얕은 물로 이뤄져 있고, 물의 흐름이 약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를 통해 6종의 미기록 돌말류를 포함한 고(古)환경 서식 돌말류 화석 표본 500점을 제작하여 국내에서 최초로 수장 보관했다.

현재 돌말류 화석 표본이 수장된 곳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국내에서 유일하며, 전세계적으로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에만 1,500점의 화돌말류 화석 표본이 수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공검지에 서식했던 담수생물의 종 다양성 확보와 당시 과거 환경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높게 평가되며, 습지 퇴적층 연구는 오래된 습지의 역사를 재조명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향후 우포늪 등의 자연습지를 비롯해 벽골제 등 조선시대에 형성된 인공습지 등으로 연구지점을 확대하여, 고생물의 종 다양성 연구와 과거 서식 환경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당신의 식생활 점수는 몇 점?” 식생활 실천 점검표 온라인 서비스 개시 농촌진흥청이 개인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 정도를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식생활 실천 점검표’를 개발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점검표는 2021년 정부가 발표한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의 실천 여부를 평가할 수 있도록 용인대, 이화여대, 상명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개발됐다. 점검표는 ▲...
  2. 서울시, 공영 장례시설에 디지털 추모비 ‘기억의 별빛’ 설치 서울시가 무연고 사망자들을 위한 공영 장례 봉안시설에 디지털 추모비 ‘기억의 별빛’을 도입해 고인의 존엄을 기리는 사회적 추모 문화를 확산한다고 2일 밝혔다.기존의 무연고 추모의 집은 이름이나 사진 없이 간단한 제물만 놓이는 방식으로 운영됐지만, 이번 ‘기억의 별빛’ 도입으로 고인의 이름과 생전 기록 등을 담은...
  3. 한덕수, “개헌 마무리 후 즉시 사임”…대선 출마 공식 선언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임기 3년 내 개헌을 마무리하고 곧바로 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개헌, 통상 현안 해결, 국민통합을 3대 핵심 과제로 내세웠다.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를 선언한 한 전 총리는 “대통령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개헌을 완수하기 위해 출마하는 것...
  4. LG U+, e스포츠 행사서 안심 와이파이 경쟁력 선보인다 LG유플러스가 e스포츠 팬들이 모이는 `2025 젠지 홈스탠드` 행사에서 차별화된 인터넷 경험을 제공하는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e스포츠에 관심이 많은 1020세대 고객을 대상으로 기존 대비 4배 이상 빠른 와이파이7 공유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LG유플러스는 오는 3일과 4일 수원시 영통...
  5. GH, 키르기스스탄에 탄소중립 숲 조성한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키르기스스탄에서 `탄소중립 숲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GH가 창립 이후 처음으로 수행하는 국제개발협력사업으로, 경기도가 민간 위탁으로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온 사업을이번에 GH가 공공기관 위탁 방식으로 수탁받아 시행하게 된 것이다.이번 사업의 대상지는 키르기스스탄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